Nayoung Jeong

Nayoung Jeong

Artist | Researcher

Artist Biography

Nayoung Jeong is a sculptor, ceramist, and painter whose work takes form as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Exploring identity rooted in heritage and uprooted by globalism, her process-oriented work evokes memories and questions to make the unfamiliar closer to familiar. Jeong was born and raised in Korea, and works and lives in New York and London. She received her BFA from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and MFA at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She is recently received Ph.D. at Slade School of Fine Art, 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Artist’s statement about current work

My work interrogates whether clay bodies and ritualistic performance can facilitate psychological coping and a sense of social belonging among Mixed Cultured persons experiencing the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of global displacement. Issues relating to identity figure prominently in my pieces, as I use material and public exhibition as a way to establish the Self within a new place. My work is informed by my Korean heritage and often deploys it as a cultural basis upon which a piece can be understood. There is also a practical emphasis on live performance and ritualistic action, both of which enable my ability to provide a sense of familiarity within the unfamiliar for those navigating cultural isolation, while framed against memory.

By using locally extracted clay, my work uses the very territory being considered within concepts of ownership and community. Ultimately, this helps audiences gain connections to the work they are experiencing through a moment of encounter. Prioritising location in this way also helps bring the relationship with material forward, as well as the issue of identity. Challenging clay material beyond its physical limitations to help audiences interpret its cultural and socially cohesive implications is a constant within my work. 

작가소개
정나영 작가는 흙을 메인 재료로 이용하며, 퍼포먼스와 설치의 형태로 주로 표현한다. 유산에 기반한 혹은 세계화에 의한 정체성 상실에 대해 탐구한다. 과정이 중심이 되는 작업을 통해 관객이 자신의 기억을 환기 해 스스로 질문하도록 유도하고, 이런 과정들을 통해 낯선 것들에 대해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는 한국에서 나고 자랐고, 뉴욕과 런던, 그리고 한국에서 거주하며 창작 활동을 한다. 캘리포니아 예술대학(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에서 미술(도예 전공) 학사를 하고 ‘추상적 다이어리(Abstract Diary)’라는 제목의 논문을 썼다. 이후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서 미술(도예 전공) 석사를 하고 ‘점토 구조와 심리적 공간, 하나의 역사(Clay Structures and Psychological Space: A History)’ 라는 제목의 논문을 썼다. 런던 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Slade School of Fine Art, 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문화적 이질감을 조사하기 위한 행위의 도구로써의 흙의 기능 (How Clay Can be Used as a Ritualistic Tool to Investigate Feelings of Cultural Displacement)’ 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를 졸업했다.

작가의 말

흙과 반복적인 행위가 어우러진 작품들이 어떻게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는지를 질문한다. 자세히 말하자면, 전지구적인 이동의 시대에 새로운 공간에 살면서 사회적, 정치적 현실을 경험하는 이들이 그 지역의 역사를 함유하고 있는 흙을 통해 사회적 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그리하여, 내 작업의 주 주제는 정체성이다. 물질적 소재와 전시는 새로운 공간에서 ‘나’를 만들기 위한 수단이다. 한국에서 나고 자란 내 작품에는 한국적인 요소가 자연스레 반영된다. 그러한 이유로 나는 한국 유산을 작품의 문화적 토대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작품들은 그 한국의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해석 될 수 있다. 작품에는 퍼포먼스와 반복적인 몸짓이 두드러지게 사용되며, 이 두가지는 개인적인 기억에서 만들어 진다. 퍼포먼스의 형식을 통해, 문화적인 고립을 경험하는 이들이 친숙하지 않은 것들에서 친숙한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품의 의도이다.

또한, 나는 의도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흙을 작품 제작에 이용하며 흙의 물성을 통해, 그리고 그 은유적 의미와 함께, 그 지역에 대한 소유와 커뮤니티 개념에 대해 질문한다. 즉, 작품에서 그 흙이 생산된 지역의 지역성이 강조되며, 이는 관객들이 작품소재인 흙과의 만남을 통해서 작품과 교감 할 수 있도록 한다. 소재의 물질적인 한계에 갇히지 않고 그 소재를 통해 관객들이 사회적, 문화적 함의를 이해하는 기회를 갖는 것. 이것이 내 작업의 목적이며 내가 작품안에서 끊임없이 탐구하는 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