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2020.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Slade School of Fine Art, University College London) Ph.D, 영국 런던
* 논문: 문화적 이질감을 조사하기 위한 행위의 도구로써의 흙의 기능
(How Clay Can be Used as a Ritualistic Tool to Investigate Feelings of Cultural Displacement)
2014.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MFA, 미국 로드아일랜드
* 논문: 점토 구조와 심리적 공간, 하나의 역사 (Clay Structures and Psychological Space: A History)
2011.
캘리포니아 예술대학(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BFA, 미국 캘리포니아
* 논문: 추상적 일기 (Abstract Diary)
레지던시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세라믹 창작센터 《영아티스트》 국제레지던시, 한국 김해
- 평화문화진지 4기 입주작가, 한국 서울
- 유럽 도자 연구 센터 sundaymorning@ekwc 레지던시, 네덜란드 오이스터베이크
- 버추얼 360 커넥트 레지던시, 신흥 예술 리더 온라인 레지던시 시리즈 (with Soe Yu Nwe)
- 2019 아시아 창작 스튜디오 미디어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팀명:투블럭), 한국 광주
- 필드스테이션, S L A M – 이포 센터, 스웨덴 브로뮐라
- 국립 현대 미술 센터 북서부 지부, 로지조 주립 박물관 및 전시 센터, 크론슈타트, 상트 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슬레이드 여름학교 미술교육 레지던시, 영국 런던
- ZK/U 미술과 도시학 센터, 독일 베를린
- ICRC 예술가 레지던시 (Guldagergaard) 국제도예연구센터,덴마크
- 조각 심포지움 2016, 영국 켄트
- 아트 센터/사우스 플로리다 스튜디오 레지던시, 미국 플로리다
- 아트 스튜던트 리그 오브 뉴욕(The League Residency at VYT)레지던시 리그, 미국 뉴욕
- Masion des Artist 레지던시, 그리핀 아트 센터, 미국 코네티컷
- 버몬트 아트 센터/조각, 미국 버몬트
- 겨울 도예 레지던시,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 헤이스택마운틴 크래프트 스쿨, 2013 미술학교 협력 사업에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대표로 참여, 미국 메인
- 헤이스택마운틴 크래프트 스쿨, Doug Jeck의 ‘점토,법의학적 초상화법’
전시
2022 《멈추거나 움직이거나》 씨알콜랙티브, 한국 서울
2021 《희망에 동하다》 평화문화진지, 한국 서울
2019 《새로운 거주지에 대한 기억》 국립 현대 미술 센터 북서부 지부 로지조 주립 박물관 및 전시 센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2018 《흙에 관한 탐험》 DMS 왓슨 빌딩 과학도서관,영국 런던
2015 《이방인을 위한 거주지》 George Billis 갤러리,미국 뉴욕
2011 《추상적 다이어리》 이사벨 퍼시 웨스트 갤러리,미국 캘리포니아
- 《우리가 왜 친해졌을까》, 누하동259, 서울, 한국
- 《On the Edge》, Espacio 갤러리, 런던, 영국
- 《흙과 몸: 성긴 연결, 촘촘한 관계》, G&J 갤러리, 서울, 한국
- 《감각적 연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큐빅하우스), 김해, 한국
- 《2022 바다와 미술관》, 이강하미술관, 광주, 한국
- 《먼 곳의 친구에게: 아프로-동남아시아 연대를 넘어서》, 아세안 문화원, 부산, 한국
- 《흙과 몸: 성긴 연결, 촘촘한 관계》, 전남도립미술관, 광양, 한국
- 《Ownness》 Floating Project(Collective), apexart 지원, 홍콩
- 《광주, 사람의 빛》 아시아창작스튜디오 백련 갤러리, 한국 광주
- 《‘여余’, ‘여汝’, ‘여女’, ‘여如’/4인의 동시대 여성 작가전》 오산시립미술관, 한국 오산
- 《VOCALIS》 비콘스필드 갤러리, 영국 런던
- 《댄스 오브 스케일 (a dance of scales)》 어셈블리 포인트, 영국 런던
- 《경계 그 넘어 (Beyond Boundaries)》 갤러리 코리아, 뉴욕 한국 문화원, 미국 뉴욕
- 《색의 명명법 (The Nomenclature of Colours)》 슬레이드 리서치 센터, 영국
- 《쉐어링 보더 (Sharing Borders)》 슬레이드 리서치 센터, 영국
- 《아트 텔레포트 브룩클린 뉴욕 2019》 보그아트 갤러리, 미국 뉴욕
- 《제2회 포럼아트 국제 조각 심포지움 2016》 리버힐, 영국 켄트 (2016-2019)
- 《PAF 2018: 5개 대륙의 박람회》 바스티유 디자인 센터, 프랑스 파리
- 《몸x경계》 폴 웨블리 아트리움, 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대학, 영국 런던
- 《슬레이드 미술대학 2018 졸업전시》, 슬레이드 미술대학,영국 런던
- 《나비 효과, 2018 한국 현대 작가의 목소리》 OXO 타워, 영국 런던
- 《시야 넓히기》 컨퍼런스,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연구소
- 《아웃 인 더 콜드 (Out in The Cold)》 워릭대학교 워릭 아트센터, 영국 워릭
- 《베를린 아트 위크 5년》 ZK/U 미술과 도시학 센터, 독일 베를린
- 《오픈 하우스》 ZK/U 미술과 도시학 센터
- 《인터컨티넨탈》 Roaming Room, 영국 런던
- 《MEMEMEME》 Crypt갤러리, 영국 런던
- 《Casa Ocupada》 Dona Laura’s House, 포르투갈 리스본
- 《상하이 아트 페어 2016》 중국 상하이
- 《2016 밀라노 한국의 밤》 Museo Nazionale della Scienza e della Tecnologia, Leonardo Da Vinci, 이탈리아 밀라노
- 《2016 아트 센세이션》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 《제2회 Korean Wunderkammer》 IL Rivellino Leonardo da Vinci Art 갤러리, 스위스 로카르노
- 《Korean Wunderkammer》 Fondazione Luciana Matalon, 이탈리아 밀라노
- 《조형의 관점》 5th Base 갤러리, 영국 런던
- 《미래의 유적》 첼시 워터사이드 아트 스페이스,영국 런던
- 《[___ Blank]》 제4회 CCAKAA 그룹전, 경인미술관, 서울
- 《옥스포드 국제아트페어》 옥스포드 타운 홀 및 박물관, 영국 옥스포드
- 《네팔의 희망을 기원하는 벽화》 Contemporary Art Projects USA, 스펙트럼 아트 마이애미_바젤 위크, 미국 플로리다
- 《루프》섹션 내 작업, 컨퍼런스 Against Delivery_유럽예술연구네트워크, 슬레이드 리서치 센터, 영국 런던
- 《풍경과의 만남과 변형》섹션 내 작업, 컨퍼런스Against Delivery_유럽 예술 연구 네트워크, 슬레이드 리서치 센터, 영국 런던
- 《개인의 공간》 그린 갤러리(TF 그린 공항), 미국 로드아일랜드
- 《2015 선정된 신입회원 전시》 캠브리지 예술협회, 카트린 슐츠 갤러리, 미국 코네티컷
- 《제 10회 Crossing the Bridge 올해의 입선작 전시》 Hygienic Art, 미국 코네티컷
- 《제3회UNICUM 2015 국제공예트리에니얼》슬로베니아 국립박물관,슬로베니아, 루블라냐
- 《문화적 대화》 제21회 현대미술 입선작 전시,미국 LA한국문화원
- 《2015 회원전》 갤러리263, 미국 메사추세스
- 《오감》 제 3회 CCAKAA 그룹전, 인사동 KCDF(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갤러리, 서울
- 《엑스포34》 b.j.spoke 갤러리, 미국 뉴욕
- 《RISKY》 2015 미국도예교육위원회 리스팅 전시, 멧칼프 갤러리, 미국 로드아일랜드
- 《Of Earth》 미국도예교육위원회 리스팅 전시, 앵커 갤러리, 미국 로드아일랜드
- 《커뮤니티의 미술》, 아트 베니시아, 미국 캘리포니아
- 《새로운 패러다임》 웨스트 플로리다 대학 미술관, 미국 플로리다
- 《깨어지지않는》 캘리포니아 미술대학 도예전공 동문 새로운 밀레니엄 전, 아트 베니치아
- 《Marge Brown Kalodner 올해의 대학원생 전시》,클레이 스튜디오, 미국 펜실베니아
- 《색깔 놀이: 나만의 방식으로》 제2회CCAKAA 그룹전, 갤러리 시작, 서울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2014 학위전》, 로드 아일랜드 컨벤션 센터, 미국 로드아일랜드
- 《작은 작품전》 미국여성작가협회 갤러리,미국 뉴욕
- 《Just Kiln Me》 도예전공 대학원생 전시, Sol Koffler 갤러리, 미국 로드아일랜드
- 《The Arizona Aqueous XVIII(제 18회 입선작)전시》 투박 아트센터, 미국 아리조나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트리에니얼》 우즈-게리 갤러리
- 《Arc of Alchemy》 Sol Koffler 갤러리
- 《이곳에서 작업한 사람들: 헤이스택 여름 조교 작품전》 헤이스택마운틴 크래프트 스쿨
- 《장난감 놀이》 CCAKAA 제1회 그룹전, 가나아트스페이스, 서울
- 《B.A.M》 버클리 미술관 그룹전을 위한 제안, 미국 캘리포니아
- 《Super Flat》 캘리포니아 미술대학 내 카페
- 《도예조합 전시》 이사벨 퍼시 웨스트 갤러리
- 《CCACA 전시》, 미국 캘리포니아
- 《죽음의 편지》 포스트 오피스 갤러리, 미국 캘리포니아
경력
- 작가와의 대화, 한국과학기술대학, 한국 서울
2022.
- 작가와의 대화, 아세안문화원, 한국 부산
- ‘동화(童話/同化)되다’, 시민참여 워크숍, 평화문화진지, 한국 서울
- 연사, ‘Defining the Next Decade’, ResArtist Conference hosted by SAC Gallery, Bangkok
2019.
- 작가와의 대화, 하트퍼드셔 대학(University of Hertfordshire), 영국 런던
- 엑세스 투 아트 컬리지(Artist Access to Art College) : 하트퍼드셔 대학(University of Hertfordshire) 창의 예술 학교에서 주최 : 영국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England)의 지원
- 연사, ‘혼합 문화인을 위한 참고 자료로서의 나’, 동아시아 공동 학술회, 에딘버러 대학, 영국 에딘버러
- 런던 예술 인문 파트너쉽(LAHP)가 후원하는 <쉐어링 보더> 심포지엄 위원, 영국 런던
- 연사, ‘문화 변이를 가진 흙’, 아트 텔레포티트 브루클린, NY 2019 컨퍼런스, 미국 뉴욕
- ‘드로잉 방법론’ 강사, 슬레이드 미술대학, 영국 런던
- 작가와의 대화, ‘K-ART NOW’ 4482 주최 월간 포럼,한 콜렉션,영국 런던
- 작가와의 대화,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 영국 런던
- ‘라이프 언더그라운드’ 워크샵 강사, Compost Mentis 주최/Goldsmith Innovation Award후원, Phytology meadow, 영국 런던
- ‘일상적 돌탑’ 워크샵 강사,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 영국 런던
- 연사, ‘퍼포먼스 도구로서 흙’,제24회 국제퍼포먼스학회 학술대회 ‘네트워크로서의 퍼포먼스: 미술,도시,문화’, 대구
- ‘드로잉 방법론’ 강사, 슬레이드 미술대학, 영국 런던
- 연사, 점심 강의 시리즈 ‘점토와 유약’ 슬레이드 미술대학, 영국 런던
- 연사, 인터렉티브 아트 / 1회 한국인 박사 및 연구자 컨퍼런스 (KRUK), 영국 런던
- 2016 포럼 아트 아티스트 ‘일시적인 집’ / 영국 왕립 조각 협회, 영국 런던
- 포트폴리오, 인터뷰 어시스턴트, 슬레이드 미술대학
- ‘표면’ 워크샵 강사,슬레이드 미술대학
- ‘형태’워크샵 강사,슬레이드 미술대학
- 작가와의 대화, Guldagergaard국제도예연구센터, 덴마크
- 연사, ‘리서치 연습,연습 리서치’심포지움,영국미술교육협회,컴브리아대학교 예술대학, 영국 랜케스터
- 작가와의 대화, 조각/조형 심포지움 2016, 영국 켄트
- 작가와의 대화, ‘몸과 흔적’, 아트센터/사우스 플로리다 스튜디오, 미국 플로리다
- 작가와의 대화, VYT 레지던시 리그, 미국 뉴욕
- 작가와의 대화, 버몬트 아트센터/조소, 미국 버몬트
- ‘Soe Yu Nwe의 도예: 의식, 점토 구조와 심리적 공간’방문 강사,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 진행중인 도자기 작품(백자) 및 도예 프로세스 소개,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박물관
- ‘도자기 형태와 표면’ 강사,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 방문 작가 코디네이터,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도예과
- Doug Jeck의기술 조교, ‘점토, 법의학적 초상화법’,헤이스택마운틴 크래프트 스쿨, 미국 메인
- Hosseinali Saheb Ekhtiari의 강의 조교, ‘도자기: 타일’,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평생교육 프로그램
- Corbin Rodriques의 기술 조교, ‘점토 마니아!’,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평생교육 프로그램
- Katy Schimert와 Eduardo Duarte의 강의 조교, ‘실내건축과 도자기’,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 ‘공익을 위한 예술’ 강의 조교, 클레어몬트 스쿨, 미국 캘리포니아
출판 / 리뷰
- 『자연스러운 몸들 : 흙, 그 형상화된 틀과 함께한 10년』 SLADE PRESS, 영국 런던
- ‘POST HUMAN NEW MEDIA ART 2020’, CICA Museum, 한국/미국, 92-95쪽
- 『일상으로의 돌탑』 SLADE PRESS, 영국 런던
- 『부드러운 폭력』 영국, 런던
- 시선을 넓히기, 슬레이드 프레스, 영국 런던, 51-54 쪽, 126 쪽
- ‘포럼아트’, 영국 런던
- 『흙에 포함된 요소들』 런던 대학교
- ‘세비지_4번째 발행: 자유 발언’, Press in London, 영국 런던, 14-15쪽
- 『몸과 그 흔적』 런던 대학교
- 여기 공간을 보다, Alexander Castro가NPT Mercury에 기고
- RISD블로그_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T.F. 그린 공항 전시와 겨울 레지던시에 관한 글
- ‘UNICUM 2015 오늘의 도예, 제 3회UNICUM 2015국제공예트리에니얼’, 슬로베니아 루블라냐
- 잡지ISMOLOGY 7,8쪽
- Issue 005: Bones, East Coast Ink, P.17, 18, 49, 50, 66쪽
- Artaxis 9주년 기념 포스터에 작품 수록, artaxis.org
- 아트 버즈, 2014년 콜렉션, 미국, 108,109쪽
- 2014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졸업기념서, RGB
- ‘도예의 한계를 시험하는 대학원생들: 클레이 스튜디오 이야기’, Knight Arts
- ‘RIDS 디자인 스쿨 졸업전: 다양한 재능의 향연’, Providence Journal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2014 학위전, Art & Education
- 캘리포니아 예술대학 한인 동문전, 아주경제
- Tulane 리뷰/갤러리II |Art, 2013 가을 컬렉션, 미국, 48, 57, 58쪽
수상
- 문화예술진흥기금(해외 레지던시 지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제 25회 광주미술상 특별상 수상, (사)광주미술상운영위원회
- 아티스트 엑세스 투 아트 컬리지(AA2A) 아티스트 지원 펀드, 영국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England)
- Jean Spencer Memorial & Malcolm Hughes 연구 장학금, 슬레이드 미술대학
- HEA(the Higher Education Academ) 에 의해 어쏘시에이트 펠로우로 인정, 고등교육의 교육과 학습 및 연구
- Julia Wood Prize, 슬레이드 미술대학, 영국 런던
- Jean Spencer Memorial & Malcolm Hughes 연구 장학금, 슬레이드 미술대학
- 레지던시 선정 작가를 위한 반액 지원금, Guldagergaard 국제도예연구센터, 덴마크
- 제21회 현대미술 입선, Cash Award, 미국 캘리포니아
- Ruth Katzman 장학금, VYT 레지던시 리그, 미국 뉴욕
- 미술작가와 문인을 위한 지원금,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 미국 버몬트
- TF 그린 공항 내 그린 스페이스 갤러리 작가, 미국 로드아일랜드
- Toby Devan Lewis Award 도예 부문 지명,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 아트 버즈2위 입상, 3D Mixed Media, 미국
- 도예 겨울 레지던시 상,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 2013 미술학교 협력사업에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대표로 선정,헤이스택마운틴 크래프트 스쿨, 미국 메인
- Mary B. Bishop and Francis S. Merritt장학금, 헤이스택마운틴 크래프트 스쿨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펠로우십 수상
-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조교 수상
- 우등상, 캘리포니아 예술대학(미국 캘리포니아)
- All-College우등상 (Charles Fiske 장학금, 2011년 가을학기 수여), 캘리포니아 예술대학
작품 영구 소장 기관
2021 전남도립미술관, 한국 광양
2015 슬로베니아 국립박물관, 슬로베니아 루블라냐
2015 Guldagergaard 국제도예연구센터, 덴마크 스켈스쾨르
맴버십
- 아트 베니치아의 아티스트 회원, 아트 베네치아 갤러리, 미국 베네치아
- 캠브리지 미술 협회 회원, 미국 캠브리지
- 갤러리263의 아티스트 회원, 미국 캠브리지
- 아트아식스의 아티스트 회원 및 동료 심사위원